디지털 전환 시기와 지원을 규정한 특별법의 시행령이 공포되면서 이제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디지털방송 전환 작업에 돌입했다. 디지털 전환에는 지상파 방송 사업자들의 설비와 장비 투자, 콘텐츠 제작, 시청자의 수신환경 변화가 핵심과제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영국 등 몇몇 국가를 제외하면 세계적으로도 일찍 디지털방송을 시작했다. 그러나 정책당국의 견인력 부족, 사업자들의 투자 저조, 디지털TV 수상기의 더딘 보급으로 디지털방송으로의 이행작업이 적어도 1년여 이상 지체됐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제 정책당국과 사업자, 시청자들은 저마다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아날로그 방송 종료 시까지 남은 시간은 4년 5개월 남짓이다. 2001년 10월 디지털방송을 개시하고 지금까지 7년 가까운 시간 동안 디지털전환 작업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을 되짚어 보면 앞으로 남은 시간은 결코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지난해 말까지 디지털TV 판매 대수는 622만대로 전체 가구 수의 33% 정도의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비슷한 시기에 디지털방송을 시작한 선진국들이 50% 이상의 보급률을 보이는 것에 비하면 눈에 띄게 저조하다. 더구나 우리나라 가구 가운데 80% 이상이 지상파를 케이블TV를 통해 수신하기 때문에 33%의 가구가 모두 디지털방송을 수신한다고도 볼 수 없다. 케이블TV방송협회에 따르면 지난 4월말 현재 디지털케이블 가입자는 120만 가구다. 결국 추산해 보면 디지털방송을 시작한지 7년이 다되어가지만 우리나라 가구 가운데 130~150만 가구 정도가 디지털방송을 수신할 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지금까지는 디지털방송 전환 정책이 완전 실패했다는 의미다.
앞으로 디지털 전환 정책의 주안점은 지상파 방송사 특히 두 공영방송인 KBS와 MBC의 디지털전환 투자를 독려하는 한편, 디지털TV 보급률을 가속화하는데 맞춰져야 한다. 콘텐츠 문제는 그 다음이다. 우선 제작, 송출 설비와 장비 투자에 미온적인 두 공영방송사들을 재촉하는 일이다. 두 방송사는 현재 자체적으로 정한 디지털 전환 일정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두 방송사는 천문학적인 투자 부담을 거론하며 재원확보를 위해 시청료를 인상하고 중간광고를 허용해줄 것을 줄기차게 주장해 왔다. 투자에 비해 얻는 수익의 격차가 현저하고 디지털 전환이 정책으로 추진되는 이상 그들의 주장이 전혀 틀렸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정책 당국도 그들의 부담을 들어주기 위해 납부해야할 방송발전기금을 작년 수준으로 묶는 등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두 공영방송의 주장은 모순에 빠져 있다. 정책 당국과 시청자, 시민단체들은 방송사들이 낭비요소를 줄이고 뼈를 깎는 자체 노력을 통해 우선 자금을 조달하고 난 연후에야 이 같은 주장을 해야 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여론은 지금 대세다.
디지털TV 보급 문제는 우선 디지털케이블TV의 보급에 힘써 기존 수상기 보유가구가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급선무다. 그 다음으로 시행령에 의해 디지털 튜너 구입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저소득층 약 200만 가구에 대한 지원을 앞당겨 시행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왕 지원하는 것이라면 시기를 앞당길 필요가 있다.
방통위는 방송계와 가전업계를 묶어 디지털전환협의회를 만들고 여기서 수상기 판매로 수혜를 입는 가전업계가 방송사와 수신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궁리 중이다. 일본도 원활한 디지털전환을 위해 가전사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성과를 보고 있다. 가전사가 일정 부분 디지털전환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은 충분히 일리가 있다.
2008년 07월 17일 (목)
진단 결과에 따른
안내페이지를 참고하세요.
UHD TV 시청방법 바로가기 HD TV 시청방법 바로가기 아날로그TV 시청방법 바로가기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기타(중소기업, 해외 브랜드, 해외 직구 등) UHD TV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