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31일 밤 12시 59분. TV에서 보신각 타종을 중계하고 있다. 2013년을 알리는 카운트다운이 시작됐다. 5,4,3,2,1. 순간, TV가 `지지직 하더니 `아날로그방송이 종료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뜬다. 그리고 `결정적 순간 케이블TV로 미리 준비하세요라는 멘트가 흘러나온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이 달부터 시작한 2013년 디지털전환 캠페인 CF의 한 장면이다. 협회는 “2012년 예고된 아날로그 방송의 종료에 따른 시청자 혼란을 줄이고 디지털전환에 케이블TV방송협회가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담은 공익 캠페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상파방송사 입장에서 케이블TV의 이같은 디지털전환 `공익 캠페인이 전혀 달갑지 않다. 오히려 `지상파의 디지털 전환에 왜 케이블이 신경 쓰느냐며 불쾌감을 숨기지 않고 있다.
◇지상파-케이블, 패권 경쟁 스타트=오는 6월29일 지상파방송의 디지털전환과 디지털방송의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디지털전환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디지털 시대의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지상파방송사와 케이블방송사(SO)간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1차전이라고 할 수 있는 아날로그방송 시대에서는 케이블 SO의 승리. 전체 가구수 1869만명중 1412만 가구가 케이블에 가입해 있다. 전 인구의 75.5%가 케이블TV를 통해 지상파방송을 보고 있다는 얘기다. 이러다 보니 지상파방송 3사도 케이블방송사 앞에서 힘을 쓰지 못했다. 이는 지상파방송사의 시청점유율과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전체 방송시장에서 지상파(DMB포함)의 점유율은 2003년 49.7%에서 매년 감소해 2006년 말 현재 38.1%를 차지하고 있다. 시청점유율에 있어서도 지상파의 경우 2000년 79.8%에서 매년 감소해 2006년의 경우 63.7%를 나타내고 있다.
지상파방송사는 난시청 해소 부분을 케이블에 전적으로 의존한 것이 방송시장의 헤게모니를 케이블에 빼앗기는 패착이 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지상파방송사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디지털전환이 패러다임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상파, 공시청망 개선ㆍ재송신 유료화 공세=디지털방송에서 헤게모니를 되찾기 위한 지상파방송사의 공세는 크게 두가지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선 난시청 해소에 지상파방송이 직접 나서는 것으로, 디지털방송 수신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공동주택의 공시청망을 정비하는 것이다. 지상파방송사는 케이블TV 시청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케이블 가입, 셋톱박스 교환 등의 추가 비용이 드는 반면, 공시청망 개선을 통하면 저렴하게 지상파의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두번째 전략은 디지털에서는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의 재송신을 유료화하는 것이다.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케이블의 난시청 해소 역할을 인정, 지상파방송사가 재송신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특히 HD방송에 대해서는 재송신을 유료화해야 한다는 것이 지상파방송사들의 입장이다.
지상파 3사가 재송신을 유료화할 경우 케이블 방송사의 원가 구조가 급격히 상승해 디지털케이블 가입비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재송신 유료화는 지상파방송사의 수익구조도 개선하고 케이블의 경영을 압박할 수 있는 카드다. 이미 MBC가 위성방송, IPTV, 케이블 등 유료방송에 대한 재송신 유료화에 적극 나섰고, KBSㆍSBS도 뒤따를 것이란 전망이다.
◇케이블, “디지털 전환도 우리가 주역”=케이블TV 진영은 디지털 전환을 위기이자 기회로 받아들이고 있다. 아날로그방송에서 케이블방송이 난시청 해소의 한 축을 담당했다면 이제는 디지털 전환의 주역으로 자리매김 한다는 것이다.
케이블TV방송협회에 따르면 약 1500만 가입자 중 30% 이상은 2012년 이후에도 아날로그TV 수상기를 계속 보유할 전망이다.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된다 하더라도 시청자가 아날로그 케이블에 가입해 있으면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정책 당국 입장에서도 2012년 아날로그 방송 종료 이후 아날로그TV 수상기 보유자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케이블 업계는 이러한 점을 들어 디지털전환에서 케이블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케이블카드 장착 의무화 기술 기준 완화, 방송 압축기술 기준 완화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케이블 업계는 지상파방송사들이 공시청망 등 디지털 수신 환경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고 해도 난시청 해소에는 역부족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 복수종합유선방송사(MSO) 사장은 “케이블SO가 지난 13년간 난시청을 해소하고 공시청망을 유지 관리하는 데 노하우를 갖고 있다”며 “지상파방송사가 단기간에 이를 해결할 인력과 재원을 확보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상파방송의 재송신 유료화에 대해서도 케이블 업계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케이블-SO, 상생 모델 필요=전문가들은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양측이 대립이 아닌 협력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관계자는 “앞으로 구성할 디지털방송활성화추진위원회에는 지상파방송 뿐 아니라 유료방송 업계도 참여시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강희종 기자 mindle@dt.co.kr
2008년 06월 10일 (화)
진단 결과에 따른
안내페이지를 참고하세요.
UHD TV 시청방법 바로가기 HD TV 시청방법 바로가기 아날로그TV 시청방법 바로가기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기타(중소기업, 해외 브랜드, 해외 직구 등) UHD TV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