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이유는? “지상파 방송만으로 충분해서”(73.0%)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이유는? “지상파 채널이 잘 안 나와서”(65.8%)
안테나 또는 공시청 설비를 통해 지상파 채널이 잘 나온다면 유료방송을 해지할 의향은? “있다”(61.5%)
2012월 12월 31일, 지상파 아날로그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방송으로 전환되면서 지상파의 직접수신을 선택할 수 있다면 61.5%가 유료방송을 해지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조사가 발표됐다. 하지만 현재 SBS(지역민방)의 직접 수신률이 낮고 각 지역의 직접수신 환경에 대한 안내와 관계기관의 홍보가 부족해 결과적으로 유료방송 가입가구만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DTV전환감시시청자연대는 전국을 서울·수도권, 충정·전라권, 강원·경상권 등으로 권역을 나눠 지난 6월 27일부터 7월 1일까지(4박5일) 무작위 102개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상파 디지털방송 수신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DTV코리아와 함께 진행됐다.
그 결과,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실외안테나로 수신했을 때 KBS1·2와 EBS의 직접수신율은 95%로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MBC는 91.1% 수신율을 보였으며 SBS(지역민방 포함)는 82.3%, OBS는 27.2%로 낮게 나타났다.
DTV전환감시시청자연대는 “디지털TV로 직접수신을 시도했다가 SBS(지역민방)가 나오지 않아 아날로그 유선방송을 보는 가구도 있었다”며 SBS 수신율과 관련해 “지역 시청자들이 직접수신으로 전환하는데 큰 문제점으로 작용된다”고 지적했다.
해당 설문조사에서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이유’에 대해 조사대상 가구 65.8%가 “지상파 채널이 잘 나오지 않아서”라고 답했다. 또한 “공시청 설비로 TV를 시청하는 방법을 몰라서”(5.1%), “안테나 설치하는 방법을 몰라서”(5.1%), “나의 의사와 상관없이 아파트 단체가입”(5.1%)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지상파 채널이 잘 나온다면 유료방송을 해지할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에 61.5%의 가구는 “있다”고 답했다.
DTV전환감시시청자연대는 “지상파방송에 대한 일반 시청자들의 높은 선호도와 함께 직접수신 환경이 안정적으로 잘 구축되고 이에 대한 지역별 직접수신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해준다면 직접수신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SBS 재허가시 연계해 수신율 확대 유도해야”
이날 발표회에서는 디지털방송 전환 이전에 시청자가 지상파 직접수신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함께 제기됐다.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강혜란 정책위원은 난시청 판정 주체를 현행 KBS에서 방송통신위원회로 변경해 실질적인 관리감독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BS에 대해서는 양질의 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프라를 ‘반드시’ 구축하도록 방송법(44조)을 개정하고 인위적 난시청에 대해서도 광역별시청자센터 운영을 통해 지원 업무를 하도록 규정했다. 특히, 법 개정을 통해 수신료면제가구 대상을 넓혀 KBS가 수신율 확대에 적극 나서게 한다는 방침이다. 현행법상 관련 책무가 없는 SBS(민영방송, OBS)에 대해서도 재허가와 연계해 자체적으로 수신율을 확대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 밖에 유료방송 플랫폼에는 공시청시설과 실외안테나 훼손 등 금지행위 제재 강화를 주문했으며,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주책관리주체에 대해서도 방송법상 한시적 예외조항으로 규정해 2004년 이전 주택의 공시청 설비분리 배선에 대한 개·보수를 강제하도록 했다.
강혜란 정책위원은 “무료 지상파 방송은 낡은 이슈일 수도 있다”며 “하지만 누군가는 매체가 없어 날씨도 확인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강 정책위원은 “국가가 사회적 약자를 아우르는 기본적 공공서비스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국민들로 하여금 실질적인 유·무료방송 선택권을 보장해야 지상파와 유료방송간 실질적인 경쟁이 활성화돼 콘텐츠 질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4년간 KBS1 채널만 보신 할머니도 있었다”
이날 서울·수도권, 충정·전라권, 강원·경상권의 직접수신 실태조사를 통해 얻은 난시청 사례도 공개됐다. 실제 4박 5일간 지역을 돌아다니며 실태조사에 나섰던 참가자들은 “참담했다”고 입을 모았다.
“할머니가 혼자 사는 가구를 찾았다. 할머니는 아날로그 지상파 방송을 직접수신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TV가 전혀 나오지 않고 있었다. 경제적인 이유로 유료방송을 신청하지 못한 상황에서 TV가 나오지 않아 날씨정보마저도 확인하지 못했고 아날로그 종료 자막을 보지도 못해 정부 지원이 있는지 조차 모르는 상황이었다”<전남 보성군 미력면 도개리의 한 가구>
“세대주였던 할아버지가 4년 전 사망하고 74세 할머니 혼자 생활하고 있는 가구가 있었다. 유료 위성방송 대금 연체로 한 달 전부터 TV를 전혀 못 보고 계셨고, 그 전에도 유료 위성방송 사용에 미숙해 근 4년간 KBS1 한 개 채널만 시청해왔다고 한다”<경북 영주시 평은면 오윤리의 한 가구>
노영란 매체비평우리스스로 사무국장(서울·수도권 조사)은 “디지털 전환으로 무료서비스를 강화하는 계기가 돼야하는데 확인한 결과, 유료방송에 가입해버리는 사례가 있었다”며 “사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디지털 전환에 따른 유료방송 가입은 최소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정주 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수 소장(충정·전라권 조사)은 “농촌지역 노인가구에 대해서는 여전히 홍보와 지원이 부족했다”며 “(조사하면서 느낀 것은)지상파 직접수신을 갈망하시는 분들이 꽤 있다는 것이다. 디지털 전환을 계기로 이 같은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석현 서울YMCA 시민중계실 팀장(강원·경상권)은 “아날로그 난시청지역은 디지털전환이 되더라도 난시청지역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례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심지어 DTV 코리아 등 어디에 문의를 해야 하는지도 모르는 상황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한석현 팀장은 “한 가구의 경우, TV가 3대로 거실 DTV는 유선방송, 안방DTV와 작은방 ATV는 직접수신을 하고 있었다”며 “하지만 ATV에 대한 컨버터 구입 등에 대해 잘 몰랐고 안방DTV도 시설 개보수에 대한 지식이 없어 제대로 된 디지털방송을 시청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다”고 전했다.
DTV전환감시시청자연대는 향후, 방송통신위원회에 시민단체와 지상파 방송사, 학계 등을 포함한 거버넌스 형태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환경 2차 조사를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전국 102 가구 표본조사로는 정확한 실태 파악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진단 결과에 따른
안내페이지를 참고하세요.
UHD TV 시청방법 바로가기 HD TV 시청방법 바로가기 아날로그TV 시청방법 바로가기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콜센터(1644-1077)로 문의 바랍니다. 기타(중소기업, 해외 브랜드, 해외 직구 등) UHD TV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