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지상파 방송 동향

    해외 지상파 방송 현황

    해외 지상파 방송 직접수신율
    해외1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미디어 연구실(2014.12), 2014 국제 방송시장 조사. Ovum(2013-2014)을 바탕으로 재구성.

    미국

    미국 방송 네트워크 구조
    – 미국의 지상파 네트워크는 CBS(CBS Corporation), NBC(Comcast), ABC(Walt Disney Company), FOX(21st CenturyFox)가 4대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으며, 그 외 Time Warner와 CBS가 공동으로 출자한 CW, 스페인어 네트워크인 Univision과 Telemundo, 공영 네트워크 PBS 등이 있음
    – 케이블 방송은 Time warner cable, Comcast가 위성방송은 DirecTV가 주도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현황
    해외2

    미국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
    해외3

    – 2009년 6월 12일 미국은 룩셈부르크, 핀란드, 네덜란드에 이어 4번째로 디지털 전환을 완료함
    – 빠른 지상파 디지털 전환에도 불구하고 사전 준비와 적극적인 홍보 부족으로 낮은 직접수신율을 지속적으로 기록
    – TV 수신기(컨버터)를 장착하거나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TV 수상기를 구비해야만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으며,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을 준비하지 못한 가구는 더 이상 방송을 시청할 수 없게 됨
    – 연방통신위원회(FCC)에 따르면,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을 실행한 주간인 2009년 6월 8일부터 6월 14일까지 걸려온 디지털 전환 문의 중 10%가 디지털 지상파 방송 전환을 미리 준비 못한 사람들의 문의로, 디지털 전환 자체를 모르는 경우도 1%로 나타남

    영국

    영국 방송 네트워크 구조
    – 지상파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으로 방송 네트워크가 이루어져 있음
    – 그 중 지상파 방송은 BBC 중심의 공영체제와 1TV 중심의 민영체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틀어 공공서비스 방송(PSB: Public Service Broadcasting)로 불림.
    – 공공서비스 방송(PSB) 중심의 방송사들이 지상파 플랫폼을 갖고 있을 뿐 아니라 비지상파 플랫폼에 채널을 공급하는 채널 사업자로써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음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현황
    해외4

    영국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
    – 영국의 공공서비스 방송(PSB)은 BBC1, BBC2, 1TV1, Channel4, Channel5로 5개의 채널과 BBC의 기타 채널인 BBC3, BBC4, CBBC, CBeebies, BBC News24, BBC parliament 채널 등으로 구성. 주로 자체제작 콘텐츠가 주를 이루고 있음
    – TV 프로그램 해외 수출을 통해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이를 지속하기 위해 다양한 콘텐츠 제작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

    프랑스

    프랑스 방송 네트워크 구조
    – 프랑스는 방송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나라 중 하나이며 지상파 TV, 케이블 TV, 위성 TV, IPTV로 구분됨
    – 2013년 기준 프랑스 무료 TV 시장에서는 France Televisions, ARTE 등 2개의 공영 지상파 TV 사업자와 TF1, Canal Plus, M6 등 3개의 민영 지상파 TV 사업자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CanalSat, Fransat이 위성 TV를 제공하고 있음
    – 또한 유료 TV 시장에서는 Canal Plus가 위성 TV 서비스를, Numericable이 케이블 TV를, Orange, SFR, Bouygues Telecom, Free가 IP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현황
    해외5

    프랑스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
    – 프랑스의 디지털 전환은 유럽 몇몇 국가와 비교하여 늦게 추진한 편이나 영국과 더불어 디지털 전환 후에도 40~50%를 웃도는 높은 지상파 직접수신율을 기록
    – 특징적인 점은 다채널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가 높은 것을 인식하고 이에 초점을 맞춰 지상파 디지털 전환을 추진
    – 2005년 14개의 무료채널을 시작으로 2014년 기준 약 30개 이상의 지상파 디지털 채널을 시청 할 수 있음
    – 프랑스 디지탈TV 다채널 정책은 시청자의 복지와 방송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지상파 채널의 다채널화를 구현했다는 평가를 받음

    해외6

    독일

    독일 방송 네트워크 구조
    – 독일은 케이블 TV가 발달한 국가로 2014년 기준 케이블 TV 보급률은 48%이며 위성방송은 유료와 무료로 제공 중
    – 독일 케이블 TV 보급률은 아날로그 케이블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이 가속되고 있으며 2014년 기준 디지털 케이블은 29.5%로 전년 대비 3.5%의 상승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음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현황
    해외7

    독일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
    – 공영 방송 ARD와 ZDF는 기존에 아날로그 방송으로 제공해왔던 종합 편성 채널과 위성 방송, 케이블 TV에 제공하고 있는 전문 채널 중 지역에 따라 9~14개 채널을 제공하고 있음
    – 민영 방송의 경우 송신료는 비싸고 시청 세대 수는 적은 지상파 방송에는 소극적인 입장으로, 전국 6대 도시권에 한하여 방송 서비스를 하고 있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의 경우 공영 방송만 제공되는 지역이 많은 편임

    해외8

    – 독일의 디지털 전환은 1997년 8월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terrestrial) 시범 프로젝트 논의를 기점으로, 1998년 8월 24일 독일 연방 정부의 결정에 따라 공영방송을 중심으로 이행
    – 디지털 전환 이후 각 州에는 24개 채널 분의 송신 용량이 확보되어 있으며 (Bayern 州는 예외적으로 32개 채널 분 확보), 공영 방송과 민영 방송에 각각 1/2씩 배분되어 있음
    – 구 서독부터 대규모 케이블망 구축을 통한 케이블 중심의 방송시장 편성으로 디지털 전환 후에도 낮은 지상파 직접수신율을 기록하고 있음

    일본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현황
    일본1

    일본 지상파 방송 네트워크
    일본2

    – 일본의 지상파 네트워크는 일본 전국을 아우르는 공영방송 NHK와 각 지역 방송국과 제휴 및 계열 관계를 맺고 있는 5대 민영 네트워크 계열들로 구성
    – 도쿄를 방송권역으로 하는 NTV, TV아사히, TBS, TV도쿄, 후지 TV 방송국을 Key Station으로 하고 이들과 제휴를 맺은 지역 방송사간 네트워크 구축

    일본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 일본 디지털 지상파 방송은 도쿄, 나고야, 오사카 등 3대 광역권의 경우 2003년 12월 디지털 방송이 개시, 2006년 12월부터 전국으로 확대됨
    – 2003년 12월부터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를 개시하였지만, 프로그램의 경우 프라임 타임에 NHK는 90% 이상이 HD로 제작되었고, 민영들의 약 50% 수준에 도달
    – 이에 비해 케이블 TV의 경우,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종료까지 가능한 조속히 모든 케이블 TV 시설에 대해 디지털 대응을 완료하도록 계획적이고 적절한 케이블 TV 디지털화 추진
    – 위성 TV의 경우,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과 같은 2011년 7월 BS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며, 이후 새로운 BS 디지털 방송이 개시될 예정으로, 이를 위한 홍보 및 제도정비를 진행하여 가입자 수 증대에 노력

    해외 OTT 사업자 현황

    미국

    – 유튜브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넷플릭스, 훌루, 아마존 프라임, HBO Go 순으로 이용되고 있음
    – 5대 OTT 서비스 중 넷플릭스와 훌루는 광고 기반 서비스이며, 넷플릭스는 가입 기반 서비스, HBO Go는 기타 서비스에 속함

    미국ott

    영국

    – 지상파 방송사, 위성 사업자, 케이블 사업자, 통신 사업자, 순수 OTT 사업자 등 다양한 유형의 사업자들이 OTT 시장에 진입해 있음
    – 2014년 2월 기준 영국 내 20개의 OTT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미국(21개)에 버금가는 수치이며,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영국의 주요 OTT 서비스로는 BBC의 iPlayer, BskyB의 Now TV, Virgin Media의 Virgin TV Anytime, British Telecom의 BT TV, Amazon의 Amazon Prime Instant Video 등이 있음

    영국ott

    프랑스

    – 지상파 방송 사업자, 유료방송 사업자의 활발한 OTT 시장진입이 이뤄지고 있음
    – 서비스 형태는 주로 실시간/다시보기, VOD, N-Screen 서비스이며, 무료 실시간/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사가 다수 존재함
    –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주로 N-Screen 서비스 위주로 OTT 서비스 제공
    – PlayTV의 경우 실시간 방송을 무료 OTT 서비스로 제공

    프랑스ott

    독일

    – 독일은 순수 OTT 플랫폼으로 출발한 사업자 보다는 catch-up TV 및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영방송사업자들과 약 4,000만 명에 이르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를 보유한 유료 방송사업자들을 중심으로 신흥 OTT 사업자가 참여하는 OTT 서비스 시장 확대

    독일ott

    일본

    – OTT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전자기기사업자, 인터넷 포털 사업자, 지상파 사업자, 통신사업자, 웹기반 콘텐츠 사업자로 구분되며 Connected TV, 웹기반 OTT, TV everywhere 형태로 서비스 제공

    일본ott


    [참고문헌]
    임중곤(2015), 영국의 방송제도 및 서비스 현황, KBS 기술연구소.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4.12), 독일 정보통신(ICT) 방송 사업자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4.12), 일본 정보통신(ICT) 방송 사업자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4.12), 프랑스 정보통신(ICT) 방송 사업자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5.1), 미국 정보통신(ICT) 방송 사업자 보고서.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5.4.), 영국 정보통신(ICT) 방송 사업자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미디어 연구실(2014.12), 2014 국제 방송시장 조사.
    Ovum(2013-2014) 재구성.

YOUTUBE 새창열기
지상파
UHD 방송 시청
자가진단

지상파 UHD 방송 시청 자가진단

어느 지역에 거주 하시나요?



다음단계

보유하고 계신 TV의 종류를 선택하세요.



초기화 다음단계

UHD TV의 종류를 선택하세요.


초기화 다음단계

CLOSE